Ubuntu/linux Command
Linux System Command (ifconfig) - interface configuration
HobbyCoding
2021. 8. 9. 17:27
728x90
ifconfig는 “interface configuration”의 약자로 리눅스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 유틸리티
ifconfig 명령은 현재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표시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넷 마스크 또는 broadcast 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별칭을 만들고 하드웨어 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등 다양한 곳에 사용
용례1 : ifconfig
eth0: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25.57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25.255
inet6 fe80::58a9:b29b:50ae:c5e5 prefixlen 64 scopeid 0xfd<compat,link,site,host>
ether e8:6a:64:2f:22:22 (Ethernet)
RX packets 0 bytes 0 (0.0 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0 bytes 0 (0.0 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lo: flags=73<UP,LOOPBACK,RUNNING> mtu 1500
inet 127.0.0.1 netmask 255.0.0.0
inet6 ::1 prefixlen 128 scopeid 0xfe<compat,link,site,host>
loop (Local Loopback)
RX packets 0 bytes 0 (0.0 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0 bytes 0 (0.0 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 [eth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flags] : 네트워크 카드의 상태 표시
- [mtu]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최대 전송 단위(Maximum Transfer Unit)
- [ine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
- [netmask]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넷마스크 주소
- [broadcas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브로드캐스트 주소
- [inet6]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v6 주소
- [prefixlen] : IP 주소에서 서브 넷 마스크로 사용될 비트 수
- [scopeid] : IPv6의 범위. LOOPBACK / LINKLOCAL / SITELOCAL / COMPATv4 / GLOBAL
- [ether]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하드웨어 주소
- [RX packets] : 받은 패킷 정보
- [TX packets] : 보낸 패킷 정보
- [collision] : 충돌된 패킷 수
- [Interrupt]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사용하는 인터럽트 번호
용례2 : ifconfig -a
-a : all
비활성화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 볼 수 있게 된다.
용례3 : ifconfig <interface>
인터페이스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원하는 인터페이스만 조회.
ex) ifconfig eth0
용례4 : ifconfig <interface> down
인터페이스 비활성화. (ex : ifconfig eth0 down)
flags=4098 <BROADCAST,MULTICAST> 와 같이 선두에 표시가 됨
용례5 : ifconfig <interface> up
인터페이스 활성화. (ex : ifconfig eth0 up)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용례6 : ifconfig <interface> <IP>
인터페이스에 IP 변경하기 : (ex : ifconfig eth0 172.21.21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