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마스크는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만 호스트 IP로 할당 할 수 있게 만들어 네트워크 낭비를 방지함.
서브네팅이란? (Subnetting)
서브네팅 : 네트워크 성능 보장,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쪼개는 작업
*IP의 특징"
IP는 사실 32자리로 이루어진 2진수, IP는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IP로 구성됨,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호스트 IP는 각자 달라야 함.
192.168.0.3 과 192.168.0.4 를 보면 192.168.0 은 네트워크 영역이고 3과 4는 호스트 IP임. 이를 해석하면 192.168.0 이라는 네트워크 영역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3과 4가 존재한다고 보면 됨.
서브넷마스크 (Subnet Mask)
어느 한 네트워크에서 1~100까지 IP를 할당받을 수 있고 우리가 필요한 IP가 20개정도라고 가정할 때, 굳이 1~100까지 IP를 줄 필요가 없습니다. 최소 1~20까지만 IP를 주면 되겠죠...그럼 나머지 21~100은 사용자가 신경쓰지 않게 끔, 서브넷마스크로 가려버린다
서브넷마스크 표시방법
92.168.0.1/24 라고 하면 이는 C클래스이고 기본 디폴트 마스크는 255.255.255.0 이다. 즉 255.255.255.0 은 결국 1111 1111.1111 1111.1111 1111.0000 0000 인데. 여기서 연속으로 1이 24개 있다. IP 뒤에 /24 라는 표현이 1이 24개가 있다는 뜻인데, 여기서 1은 네트워크 영역으로 사용하겠다는 뜻이고 0은 호스트 IP로 사용하겠다는 뜻임. 즉 사용자에게 0이 표현된 부분만 호스트 IP를 할당할 수 있게 만들겠다는 뜻임.
기본 서브넷마스크, 서브넷네트워크, 논리AND계산
기본 서브넷마스크 : 별개의 서브넷마스크를 생성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는게 기본 서브넷마스크라고 함.
서브넷 네트워크 : 기본서브넷마스크로 쪼개진 네트워크 주소를 서브넷 네트워크 라고 함.
ex)
IP 210.100.100.1 의 기본서브넷마스크 (C 클래스) : 255.255.255.0, 서브넷네트워크 : 210.100.100.0
IP 150.150.100.1 (B Class IP) 에서 기본서브넷마스크 (C 클래스) : 255.255.255.0 을 사용하면 150.150.100까지 네트워크영역이 되고 4번째 옥태드만 호스트 IP를 배정할 수 있게 만든 것암. 즉 네트워크 영역을 늘리고 호스트 영역을 줄이겠다는 뜻
note) 서브넷마스크로 나뉘어진 서브넷네트워크간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서 통신이 되어야함. 다른 말로 서브넷네트워크는 하나의 독립적인 네트워크임
네트워크 영역, 호스트 영역 범위는??(갯수)
201.222.5.0 IP를 255.255.255.248 서브넷마스크로 씌울 경우.
11001001 11011110 00000101 00000000 = 201.222.5.0 (IP 주소)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1000 = 255.255.255.248 (서브넷마스크)
11111111 11111111 11111111 (기본 C클래스가 가질 수 있는 네트워크 영역)
11111 (사용자 지정한 네트워크영역)
000 (사용자가 지정한 호스트영역)
파란색부분이 바로 서브넷네트워크가 가질 수 있는 범위임. 00000 ~ 11111 (2^5) 까지 계속 바꿔 넣으면 32개의 서브넷네트워크로 쪼갤 수 있음.
호스트 IP 갯수/? 초록색 부분으로. 000 ~ 111 (2^3-2) 까지 계쏙 바꿔 넣으면 8개를 가질 수 있음. 하지만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써야하기 때문에 -2 를 해주게되므로 호스트 IP 갯수는 6개임.
출저
https://limkydev.tistory.com/166
[Network]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란?
*선행지식 2018/11/10 - [전공지식/Network] - [Network] IP주소란? 2018/11/11 - [전공지식/Network] - [Network] IP주소 클래스(A,B,C class)란? 1) 서브네팅이란? (Subnetting) 서브넷마스크를 알기 위해선 먼저 서브네팅
limkydev.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