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Generals/network fundamental

(5)
What is a STUN Server? https://andonekwon.tistory.com/59 WebRTC란? (STUN과 TURN 서버의 이해) (2) 이전 글 복습 중간에 방화벽이 존재하거나 NAT 환경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각 Peer에 대한 직접적인 시그널링이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하였다. 그렇기 떄문에 시그널링을 하고 연결을 하기 위해서 andonekwon.tistory.com
서브넷마스크 서브넷 마스크는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만 호스트 IP로 할당 할 수 있게 만들어 네트워크 낭비를 방지함. 서브네팅이란? (Subnetting) 서브네팅 : 네트워크 성능 보장,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쪼개는 작업 *IP의 특징" IP는 사실 32자리로 이루어진 2진수, IP는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IP로 구성됨,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호스트 IP는 각자 달라야 함. 192.168.0.3 과 192.168.0.4 를 보면 192.168.0 은 네트워크 영역이고 3과 4는 호스트 IP임. 이를 해석하면 192.168.0 이라는 네트워크 영역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3과 4가 존재한다고 보면 됨. 서브넷마스크 (Subnet Mask) 어느 한 네트워크에서 1~100까..
Network basic - 스위치 네트워크 스위치란? 네트워크(종종 근거리 통신망, 즉 LAN*) 내의 장치를 연결하고 해당 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주고받음.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점은? 라우터 스위치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과하여 대상에 도달하는 경로를 선택 인터넷을 구성하는 대규모 네트워크인 LAN등의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 인터넷 연결에 필요 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데만 사용 가정과 소규모 사무실에는 인터넷 액세스를 위한 라우터가 필요함. 많은 양의 이더넷* 포트가 필요하지 않는 한 대부분 네트워크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음. 컴퓨터가 수십 대나 수백 대 있는 대규모 사무실,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에는 일반적으로 스위치가 필요합 출처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network..
Network basic - 라우터/스위치 라우터란? 둘 혹은 그 이상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최적 경로를 설정해주며 데이터를 해당 경로를 따라 한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터넷 접속 장비. 즉,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해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 내부 네트워크는 사용하는 컴퓨터 기종이나 OS, 프로토콜 등을 확실히 알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내부 네트워크를 외부와 연결할 때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컴퓨터 기종 등의 정보를 알 수 없다. 이러한 알 수 없는 임의의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비가 바로 라우터임. 라우터는 다른 기종간의 ..
Network basic - Gateway 정의 시스템이 외부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거쳐가는 통로이고, 기본 gateway는 외부 통신을 위한 여러개의 통로중 가장 기본이 되는 gateway임 (eth0).게이트웨이(Gateway)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해주고,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이 다를 경우에 중재 역할을 해준다고 보면 됨. 집 컴퓨터에서 인터넷에 접속하려는 경우 집 -> 공유기 -> 인터넷 제공 회사 라우터 -> 인터넷망와 같은 경로를 따라감. 이 때, 공유기와 인터넷 제공 회사의 라우터는 이전의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 갈 때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하여는 수많은 게이트웨이를 거쳐야함.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는 해당네트워크의 네PC에 할당된IP주소중 끝자리만 다르고 일반적으로 1이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