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linux Command (51)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Basic Command (wget) 파일 다운로드 wget 명령어는 Web GET 의 약어로 웹상의 파일을 다운로드할때 사용하는 명령어 구문 : wget [options] [url] 특성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지원 HTTP proxy 에서 데이타 다운로드 가능 non interactive 방식 사용자가 로그인하지 않고 백드라운드 상태에서도 동작함 HTML 과 XHTML, CSS 페이지를 다운로드 받아 웹사이트 로컬버전 생성이 가능 본래 사이트의 디렉토리 구조생성이 가능. recursive downloading 지원하여 사이트 전체를 쉽게 다운로드가 가능 느리거나 불안정한 네트웨트 환경에서도 매우 잘 작동하는 견고한 프로그램. 네트웨크 환경이 불안해서 도중에 연결이 끊겼다면, 연결이 끊긴 시점부터 다운로드 받는 기능 가능 용례 1 : .. Linux System Command ( df ) - 파일 용량 확인 시스템에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의 크기와 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 전체 파일 시스템의 사용 현황 확인이 가능함 구문 : df [옵션]... [파일명]. 용례 1 : df -h 읽기 쉽게 보기 용례 2 : df -P 이름이 길 경우에도 한 줄로 표시 옵션 옵션 설명 -a 0 블록의 파일 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시스템을 출력 -B 지정한 크기(SIZE)를 블록 단위로 정하여 용량을 표시(예:--block-size=1m) -h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의 크기로 출력(예:1K, 512M, 4G) -H 1KB는 1,024Byte지만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1,000단위로 용량을 표시 -i inode의 남은 공간, 사용 공간, 사용 퍼센트를 출력 -k --block-size=1K와 같은 의미 -l 출력하는 목록.. Linux System Command (du) - 디렉토리 용량 확인 du 는 Disk Usage를 의미하며, 지정된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표시. 구문 : du [ 옵션 ] [ 파일 ] [ 디렉토리] 용례 1: du [디렉토리] ex) du /usr/local/ 하부 디렉토리별로 집계해서 표시함. 마지막 줄에는 입력 경로인 /usr/local 의 총 용량이 표시됨 용례 2: du -h -s [디렉토리] ex) du -h -s /usr/local/ 하위 디렉터리의 크기는 제외하고 지정한 디렉토리만 알기쉬운 단위로 표시함. 용례 3: du -h | grep [0-9]G GB이상의 디렉토리를 표시하기 용례 4: du -c [ 디렉토리] ex) du -c /usr/local/ 마지막 줄에 명시적으로 총량을 표시함 옵션 -a : 디렉토리가 아닌 모든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출력 .. Linux System Command (netstat) - network statistics 전송 제어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수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또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이다. 네트워크의 문제를 찾아내고 성능 측정으로서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에 배포된 linux 에서는 netstat 대신 ss (socket statistic) 을 사용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note) window 10 의 WSL 에 설치한 ubuntu 20.04.00 에서는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았다. netstat -a -n | grep LISTEN : windows 10 option 옵션 설명 -a 현재다른PC와 연결(Established)되어 있거나 대기(List.. Linux System command (chown) - change owner 파일의 Owner 또는 Group을 변경하는 명령어 구문 : chown [OPTIONS] USER[:GROUP] FILE(s) 용례1 : sudo chown root file1.txt Owner를 root로 변경. root 로 변경할 경우 sudo 를 앞에 붙인다 용례2 : sudo chown :root file1.txt Group을 root로 변경. 앞에 :를 붙이면 그룹의 소유자가 변경. 용례3 : sudo chown root:root file1.txt Owner와 Group을 동시에 변경하려면 owner:group처럼 모두 입력 용례4 : chown -R user:user folder -R : Recursive 폴더와 그 폴더의 모든 하위 파일들의 소유자들도 함께 변경. Linux System Command (touch) 파일을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명령어. 존재하지 않는 파일명을 지정하면 지정된 파일명으로 파일이 생성되며 이미 존재하는 파일을 지정하면 파일의 수정시간이 업데이트 용례 1 : touch hello.py hello.py 라는 이름의 file 이 생성됨. 용례 2 : touch -t 202101010000 hello.py hello.py 의 timestamp 가 2021 01월 01일 0시 0분으로 변경됨. 용례 3 : touch test{1..10} test1,test2....test10 와 같이 10개의 파일을 만든다. Linux System Command (ifconfig) - interface configuration ifconfig는 “interface configuration”의 약자로 리눅스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 유틸리티 ifconfig 명령은 현재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표시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넷 마스크 또는 broadcast 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별칭을 만들고 하드웨어 주소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등 다양한 곳에 사용 용례1 : ifconfig eth0: flags=4163 mtu 1500 inet 192.168.25.57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25.255 inet6 fe80::58a9:b29b:50ae:c5e5 prefixlen 64 scopeid 0xfd ether e8:.. Linux System Command (route) "route" command 는 routing table 을 조회하고 경로를 추가/삭제하는 명령어임. 라우팅은 네트워크를 통해 목적지로 패킷이 전송될 경로를 지정해주는 것이고,리눅스 시스템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라우팅 테이블이라는 지도를 보고 패킷을 어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쳐 목적지로 보낼지 결정 용례 1: route route table 을 확인할 수 있다. xxxxxxx@DESKTOP-GENNFHO:/var/www/html2/PHP_Object$ route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0.0.0.0 192.168.25.1 255.255.255.255 U 0 0 0 eth0 192.16..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