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buntu

(57)
Linux System Command (whois) whois는 도메인 이름의 소유자가 누구인지 알려주는 명령어 구문 : whois [도메인명 혹은 IP] 용례 : whois naver.com
Linux System Command (nslookup) domain 관련 조회를 할 수 있는 명령어 용례1 : nslookup google.com google.com 의 IP 를 출력 Server:210.220.163.82 // dns server address Address:210.220.163.82#53 Non-authoritative answer: Name:google.com Address: 216.58.220.110 // google.com IP 주소 ;; Got recursion not available from 210.220.163.82, trying next server ;; Got recursion not available from 219.250.36.130, trying next server Name:google.com Address: 240..
Linux System Command (source) 리부팅이나 쉘에 재로그인 하지 않고 수정된 새로운 환경 설정 내용을 즉시 적용하기 위해서 source 를 실행 구문 : source [환경 설정 파일명] 용례1 : source ~/.bashrc .bashrc 를 다시 실행한다. note) ~ : home directory 를 의미함. Linux 환경파일 /etc/profile : 시스템 전역 쉘 변수. 쉘에 로그인 후 가장먼저 access USER, LOGNAME, HOSTNAME 등의 쉘 변수들이 선언 쉘 환경과 프로그램 시작 설정을 지정 /etc/bashrc or /etc/bash.bashrc : 쉘 함수, Alias 시스템 전역 변수 정의. ~/.bash_profile or ~/.profile : 유저 개인의 환경 설정 유저 개개인의 PAHT, 시..
Linux System Command (locale) UI 에서 사용되는 언어, 지역 설정, 출력 형식 등을 정의하는 문자열 로케일 형식 이해하기 language[_territory][.codeset][@modifier] ko_KR.UTF-8 한글_한국.codeset en_US.UTF-8: 영어, 미국, UTF-8 인코딩 en_CA.UTF-8: 영어, 캐나다, UTF-8 인코딩 en_GB.UTF-8: 영어, 영국, UTF-8 인코딩 en_HK.UTF-8: 영어, 홍콩, UTF-8 인코딩 용례1 : locale 로케일과 관련된 현재 설정값을 보여준다. LC_ALL 전역 로케일 설정값입니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습니다. LANG 전역 로케일 설정값입니다. 다른 값이 설정되어있지 않을 때만 적용되며, 우선순위가 가장 낮습니다. LC_MESSAGES 메시지를 표시하..
Linux Basic Command (ln) 리눅스 파일시스템에서 링크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심볼릭링크 (Symbolic Link) 원본파일을 가리키도록 링크만 걸어둔 것으로, windows 의 바로가기와 비슷한것임. 원본을 삭제하면 링크화일은 깜박거리며 원본이 없다는 것을 알려줌 하드링크 (Hard Link) 원본과 동일한 내용의 다른 파일로, 하나를 삭제하더라도 나머지 하나는 그대로 남아 있음 원본의 내용이 변경되면 링크화일의 내용도 자동으로 변경됨. 파일만 가능하고 디렉토리는 않됨. 구문 : ln [옵션] [원본] [링크] 용례1 : ln test1 test2 test1 이라는 파일의 하드링크인 test2 를 현재 디렉토리에 생성. 용례2 : ln -s test1 test2 test1 이라는 파일의 심볼릭 링크 파일인 test2 를 현재 디..
Linux Command (chmod) 파일의 권한을 변경 (change mode) 구문 : chmod [mode] [file/directory] mode : rwxrwxrwx 사용자, 그룹, 그외사람의 권한을 각각 read, write, execute 을 표시하는 숫자 4, 2, 1 로 표시한다. 용례1 : chmod 000 test.txt test.txt 의 파일권한 : 사용자, 그룹, 그외 (권한없음) 용례2 : chmod 755 test.txt test.txt 의 파일권한 : 사용자 (읽기+쓰기+실행), 그룹(읽기+실행), 그외 (읽기+실행) 으로 변경 용례3 : chmod -R 644 directory directory및 그하위 directory 와 파일 : 사용자 (읽기+쓰기), 그룹(읽기), 그외 (읽기) 으로 변경 문자열 모드 ..
Linux Basic Command (date) 날자를 문자열로 출력 용례1 : date 옵션없이 사용하면 현재 날자를 출력하며 포맷은 locale 설정에 따라 달라짐 용례2 : date "+%Y-%m-%d" 날자를 YYYY-MM-DD 포맷으로 출력. 시간,초는 아래 키워드를 사용 24 시간: %H 12시간: %I 분: %M 초: %S 오전/오후: %p unix time stamp: %s(소문자) 용례3 : date "+%Y-%m-%d %H:%M:%S" 2021-08-05 13:57:41 date "+%Y-%m-%d %l:%M:%S %p" 2021-08-05 1:59:39 PM 특정 날자 구하기 -d 옵션뒤에 구할 날자의 문자열을 지정. 용례1 : date -d "-1 days" 어제 날자 용례2 : date -d "-1 weeks" 한주전 용례3 :..
Linux Basic Command (rm) 파일 및 디렉토리를 제거하는 명령어 (remove) 화일 삭제 용례1 : rm test.txt test.txt 파일 삭제 용례2 : rm *.txt 확장자가 .txt 인 모든 파일 삭제 용례3 : rm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 삭제 (디렉토리가 있다면 삭제할 수 없다는 메시지 띄움) 용례4 : rm -f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 강제 삭제 (묻지 않고 바로 삭제) 디렉토리 삭제 용례1 : rm -r test test 디렉토리 삭제 용례2 : rm -rf test test 디렉토리 강제삭제 용례3 : rm -r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 삭제 용례4 : rm -rf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 강제삭제